조직의 정보시스템과 정보시스템이 가진 위험을 조사 및 평가하고, 이 위험이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효과적인 보호대책을 제시하는 것.
자산 조사 및 분석
진단 대상 선정
진단
결과 분석
취약성 해결
방안 제시
시스템 취약점 진단 절차 |
절차 |
|
자산 조사 및 분석 |
시스템(서버, 네트워크, 데이터베이스, 보안장비) 현황을 파악하고 취약점을 분석합니다. |
|
진단 대상 선정 |
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한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을 그룹으로 묶어 선정합니다. |
|
진단 |
시스템 취약점 진단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진단을 수행합니다. |
|
자산 조사 및 분석 |
취약점 유형별로 진단결과를 분석합니다. |
|
취약점 해결 방안 제시 |
진단 결과와 다년간의 기업 노하우를 통해 취약점 해결방은을 제시해 드립니다. |
진단 대상 선정
정보 수집
모의 해킹
결과 분석
취약성 해결
방안 제시
시스템 취약점 진단 절차 |
절차 |
|
진단 대상 선정 |
개인정보 및 중요 데이터를 전송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합니다. |
|
정보 수집 |
선정된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OS, Patch 정보 등 취약점을 수집합니다. |
|
모의 해킹 |
수집된 취약점을 기반으로 모의해킹을 수행합니다. |
|
결과 분석 |
취약점 유형별로 진단결과를 분석합니다. |
|
취약점 해결 방안 제시 |
진단 결과와 다년간의 기업 노하우를 통해 최적의 취약점 해결방안을 제시해 드립니다. |
진단 대상 선정
정보 수집
모의 해킹
결과 분석
취약성 해결
방안 제시
시스템 취약점 진단 절차 |
절차 |
|
진단 대상 선정 |
개인정보 및 중요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합니다. |
|
정보 수집 |
선정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플랫폼 버전 및 API 서버 정보에 대한 취약점을 수집합니다. |
|
모의 해킹 |
수집된 취약점을 기반으로 모의해킹을 수행합니다. |
|
결과 분석 |
취약점 유형별로 진단결과를 분석합니다. |
|
취약점 해결 방안 제시 |
진단 결과와 다년간의 기업 노하우를 활용하여 취약점 해결방안을 제시해 드립니다. |
정보시스템 안정화 |
사전 예방 |
보안 인식 강화 |
|---|---|---|
|
|
|
보안성 강화를 통한 서비스 신뢰도 향상